www.xuanflute.com
www.xuanflute.com
로그인  회원가입  정보수정  로그아웃  관리자 
   디지털 인문학 입문 글수정 글삭제
죽관악기장  |  2016-03-03

디지털 인문학 입문


제1편 디지털 인문학의 이해

I. 디지털 인문학이란 무엇인가?
Ⅰ-1. 디지털 인문학의 함의
Ⅰ-2. 디지털 인문학의 배경
Ⅰ-3. 디지털 인문학 연구개발 사례
Ⅱ. 디지털 인문학의 과제
Ⅱ-1. 디지털 인문학에 관한 오해
Ⅱ-2. 디지털 인문학은 새로운 인문학인가?
Ⅱ-3. 디지털 인문학의 과제
Ⅲ. 디지털 인문학 교육: 목표와 방법
Ⅲ-1. 디지털 인문학 교육의 목표
Ⅲ-2. 디지털 인문학 교육의 방법
Ⅳ. 디지털 인문학 교육의 첫걸음: 위키 콘텐츠 제작
Ⅳ-1. 위키 소프트웨어의 특징
Ⅳ-2. 위키 소프트웨어의 활용 사례
Ⅳ-3. 위키 콘텐츠 편찬 방법
Ⅳ-4. 위키 문서 작성 방법

제2편 인문정보학: 디지털 인문학을 위한 정보 기술

I. 인문정보학이란 무엇인가?
Ⅰ-1. 디지털 인문학과 인문정보학
Ⅰ-2. 인문정보학이 추구하는 것
Ⅰ-3. 인문정보학의 연구 주제
Ⅱ. 디지털 텍스트
Ⅱ-1. 디지털 텍스트와 하이퍼링크
Ⅱ-2. 하이퍼텍스트 기술의 발전
Ⅱ-3. 하이퍼텍스트 구현 기술
Ⅱ-4. HTML
Ⅱ-5. XML
Ⅲ. 시각적 인문학
Ⅲ-1. 가상현실과 시각적 스토리텔링
Ⅲ-2. 데이터의 시각화
Ⅲ-3. 하이퍼미디어와 인문지식
Ⅳ. 인문지식 시맨틱 웹
Ⅳ-1. 시맨틱 웹이란?
Ⅳ-2. RDF
Ⅳ-3. 온톨로지
Ⅳ-4. 시맨틱 웹과 인문지식
Ⅴ. 디지털 아카이브
Ⅴ-1. 디지털 아카이브란?
Ⅴ-2. 개방과 공유: 디지털 아카이브의 새로운 패러다임
Ⅴ-3. 디지털 아카이브와 인문지식 네트워크
Ⅴ-4. 백과사전적 아카이브

제3편 디지털 인문학에 관한 제논의

Ⅰ. 세계의 디지털 인문학 동향
Ⅰ-1. 미국의 ‘디지털 인문학 선언'
Ⅰ-2. 프랑스의 ‘디지털 인문학 선언’
Ⅰ-3. 해외 디지털 인문학 동향
Ⅰ-4. 미국의 디지털 인문학 육성 시책
Ⅱ. 디지털 인문학의 한국적 전개
Ⅱ-1. 한국 디지털 인문학의 성장 배경
Ⅱ-2. 문화콘텐츠학의 새로운 포지셔닝
Ⅱ-3. 인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생 전략
Ⅱ-4. 한국 디지털 인문학 교육의 현황과 과제
Ⅲ. 디지털 인문학 교육 현장
Ⅲ-1. 전통문화 교육과 디지털인문학
Ⅲ-2. 영미문학 교육과 디지털 인문학
Ⅲ-3. 지역문화 교육과 디지털 인문학
   2015. 12. ‘관계의 발견’을 위한 디지털 스토리텔링 데이터 모델 글수정 글삭제
죽관악기장  |  2015-12-09
‘관계의 발견’을 위한 디지털 스토리텔링 데이터 모델
2015 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 과제(장서각): 한국고문서 정서·역주 및 스토리텔링 연구

‘스토리텔링’은 ‘관계의 발견’이다. 개별적인 사실만을 바라볼 때에는 어떠한 이야기도 만들어지지 않다가도, 그 사실들이 서로에 대해 맺고 있는 관계들을 드러내는 순간, 그 관계와 관계의 연장은 스토리가 되고, 학술적인 지식일 뿐 아니라 흥미로운 이야깃거리의 자원이 된다.
문서, 인물, 토지, 노비..... 고문서의 세계에 존재하는 이런 요소들을 하나하나 독립적으로 살펴보면 그것은 문중의 역사 속에 존재한 개개의 사실(fact)일 뿐이다. 하지만 그 개별적인 사실들이 서로에 대해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는지, 어떠한 관계 속에서 만들어진 것인지를 찾게 되면, 그것들은 모두 하나의 거대한 덩어리를 이루는 지식의 그물망(Knowledge Network) 속에서 관련성의 접점이 되는 노드(node)의 역할을 한다.
이 연구는 부안 김씨 집안의 고문서를 대상으로 하는 탈초, 해제, 번역, 스토리텔링 연구를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 기술 모델’(Data Description Model)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부안 김씨 고문서 연구에 참여하는 연구자들이 탈초, 해제, 번역, 연구의 대상이 되는 문서의 내용을 이 형식에 맞추어 ‘디지털 데이터’로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2015. 12. 디지털 인문학과 선비문화 콘텐츠 글수정 글삭제
죽관악기장  |  2015-12-09
디지털 인문학과 선비문화 콘텐츠
『유학연구』33, 2015. 11.

디지털 인문학의 ‘교육’ 영역에서 바라보는 ‘디지털 콘텐츠’는 확정된 지식을 보급하기 위해서 만드는 것이 아니라, 미지의 지식 세계를 탐구하는 방법으로 만들어 가는 것이다. 대학의 인문교육 현장에서 바라볼 때, 디지털 콘텐츠는 만들어진 결과물보다 만들어 가는 과정이 더 의미 있고 중요하다. 이 논문은 디지털 인문학 교육이 한국의 전통 문화에 관한 교육의 새로운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한 것이다.

   2015. 8. 한국의 디지털 인문학 글수정 글삭제
죽관악기장  |  2015-12-09
한국의 디지털 인문학
2015 국제고려학회 발표 논문, 2015. 8.

한국의 디지털 인문학을 논할 때, 우리가 놓치지 말아야 할 중요한 사실은, '디지털 인문학'(Digital Humanities)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았고, 또 성격 면에서도 어느 정도 차이가 있지만 오늘날 이야기되는 디지털 인문학과 결코 무관하지 않은 디지털 기반의 연구․교육․활용 환경 구축 노력이 짧지 않은 기간 동안 한국에서 꾸준히 추구되어 왔다는 것이다.
이 글은 한국의 디지털 인문학이 어떠한 환경적 특성을 안고 태동하게 되었는지, 그 영향으로 그것은 오늘날 어떠한 방향성을 안고 전개되고 있는지 돌아보고, 그러한 특수성에 수반하는 잠재력과 가능성, 그리고 극복해야 할 문제점을 짚어 봄으로써 한국 디지털 인문학의 전도를 가늠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2014. 12. 문화재 지정 제도 및 문화재 명칭 영문 명칭 기준 규칙 글수정 글삭제
죽관악기장  |  2015-08-21

문화재 지정 제도 및 문화재 명칭 영문 명칭 기준 규칙

국가지정문화재 및 등록문화재영문 명칭 목록

1 2 3 4 5 6 7 8